"수능 국어" 공부의 십계명 !

01

문학 개념, 문법, 고전 운문의 지식은 배워라.

02

모든 지식은 ‘배움' ⇒ '복습' ⇒ '체득' 의 3단계를 거쳐야 한다.

03

문제는 빨리 풀고, 피드백을 오래 하라.

04

피드백 해야 하는 것은 다음의 3가지다. 지문에서 정보 해석이 안된 부분, 헷갈렸던 선택지, 틀린 문제 이다.

05

피드백 후에 본인의 지식이 부족해서 틀렸다고 판단되는 문제는, 반드시 그 지식을 찾아 습득해라.

06

틀린 문제는 정답이 나오는 올바른 논리를 분석하고, 자신이 틀린 이유를 파악하고, 그 후 주기적(1~2 주에 한번 정도)으로 본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문제의 올바른 논리와 함께 자신이 틀린 이유-그 것이 실력이든, 실수이든-를 인식하려 노력해라.

07

당해 EBS 문학 작품은 반드시 숙지해라.

08

파트별 마스터키를 익혀라.

09

시험 성적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자신의 준비되어 가고 있음에 집중하라.

10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통해 자기 자신을 분석해라.

교재 안내

공지 사항

  • 27
  • Dec

홈페이지 회원 가입 절차

2019-12-27

회원 가입 방법

1. 정석민 선생님의 현장 단과 학생만 회원 가입이 가능합니다.

2. 홈페이지 상단 회원 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학생 성명, 학부모님 휴대폰 번호를 입력 후, 휴대폰 인증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본인이 받는 출결 문자가 (이름+알파벳)으로 온다면 똑같이 기입 (ex: 정석민A)

4. 문자로 수신한 인증 번호를 입력 후, 회원 가입을 완료합니다.


로그인 방법

1. 아이디는 학생 이름을 '한글'로 기입하시길 바랍니다. (e.g. 정석민)

2. 비밀번호는 본인이 설정한 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본인의 이메일이 아이디가 아니라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퇴원생은 사이트 이용이 불가합니다.


최근 질문 질답

  • 1
  • Oct

감정의 고조

2025-10-01 정준* (50194)

특정시어가 감정을 고조시킨다고하면 그 이전의 정서가 바뀌지만 않는다면 성립하나요?

연계작품 중 몇 페이지였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백석-수라“에서 작품 전반에서는 거미에 대한 연민이 나타나지만 

‘너를 무서우이 달아나 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에서는 연민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EBS모의고사 선지에서 이 부분이 연민의 감정을 고조시켰다고 합니다.

즉, 이 출제자는 연민의 감정이 드러나는데, 일부 부분에서도 연민의 감정이 깨지지는 않았으니까 고조되는게 틀리지 않았다고 하는건가?싶습니다.

사설문제 첨부하면 거절당할 것 같아서 사진은 첨부하지 않습니다. 번거롭겠지만 찾아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 30
  • Sep

매이네 고전운문 학습방향 질문

2025-09-30 박주* (50699)

검정색은 현대어풀이고 빨간색은 내용,맥락인데 검정색을 다 기억할정도로 공부해야되는건가요?? 빨간색은 납득이되다보니까 자연스레 기억이 나는데 검정색은 아무래도 고전문학이다보니까 상황상 이런 뜻이라기보단 그냥 그게 정해진 해석인거잖아요

기억해야된다면 아예 외워야될거같은데 하면서도 이게 맞나,, 싶어서 질문드립니다ㅠ


  • 30
  • Sep

주간지 32주차 16페이지 1번

2025-09-30 이여* (50577)

4번 선지가 (나)에서 퍼트넘의 입장이 야기하는 상대주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지적했다고 하는데, 글의 흐름을 보면 초반에는 퍼트넘의 상대주의 문제를 지적하나 두 번째 문단에서 퍼트넘의 입장을 옹호하는 관점이 제시된다고 보입니다. 그 후 마지막 문단을 그러나로 시작하여 첫 문단 비판, 두 번째 문단 긍정, 세 번째 분단에 재비판의 내용이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이때 마지막 문단의 내용이 퍼트넘의 내재적 실재론이 외재적 실재론에게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을 보아 이 글에서는 상대주의의 문제는 해결 가능하지만 외재적 실재론에 퍼트넘의 견해가 종속된 것이라는 한계를 지님을 말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나)에서 퍼트넘의 입장이 야기하는 상대주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은 틀리지 않나요”?